매년 이맘때가 되면 많은 HR 담당자가 비슷한 고민을 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KPI와 OKR이라는 두 프레임워크 사이에서 '우리 조직에는 무엇이 더 적합할까', '어떻게 하면 이것을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던지게 되죠.
그래서 이번 아티클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함께 풀어가 보려 합니다. 각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실제 KPI/OKR 적용 사례와 함께 조직에 가장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선택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효율적인 성과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이해하기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도전적인 목표(O)를 정의하고 측정 가능한 핵심 결과(KR)를 통해 진척도를 추적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 목적: 도전적 목표 설정과 동기부여
· 특성: 정성적, 도전적 목표
· 주기: 분기/반기별 설정
· 혁신과 변화가 필요한 영역에 적합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통해 조직이나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 목적: 현재 성과의 정확한 측정과 추적
· 특성: 정량적, 객관적 지표
· 주기: 지속적/정기적 모니터링
· 안정적 운영이 필요한 영역에 적합
산업별 성과관리 전략 : 제조부터 의료까지
성과관리 방식은 2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어떤 방식'으로 관리할지는 부서의 업무 성격에 따라 결정합니다. 수치화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업무라면 KPI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액, 불량률처럼 구체적인 지표로 측정이 필요한 경우죠.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목표가 필요한 업무라면 OKR을 선택합니다. 신규 시장 진출, 신제품 개발처럼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도전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무엇을 관리할지'는 회사가 속한 산업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사와 제약 회사의 생산 부서가 동일하게 KPI로 관리하더라도 전자는 불량률이나 설비효율을, 후자는 품질기준 준수율 등의 지표를 중점적으로 보게 됩니다.
여기서는 4가지 산업별로 실제 현장에서 중요하게 관리되는 성과지표를 살펴보고, 이러한 지표를 KPI와 OKR 프레임워크를 통해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제조
제조업은 품질관리와 효율적인 생산 프로세스 운영이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생산 현장과 품질관리 부서에서는 명확한 목표와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때 KPI는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생산성과 품질 지표에 적합합니다. 스마트팩토리 전환,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의 혁신 프로젝트에는 OKR이 효과적입니다. OKR은 목표를 도전적으로 설정하고, 단기적인 성과를 넘어 중장기적인 혁신을 이루는 데 도움을 줍니다.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 산업은 일관된 품질 관리와 지역별 특성화라는 과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표준화된 운영과 품질 관리는 KPI를 통해 철저하게 관리하고, 지역별 마케팅 전략이나 신규 상품 개발은 OKR을 활용하여 유연하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IT
IT 산업에서는 서비스 안정성과 지속적인 혁신이라는 2가지 중요한 요소를 균형 있게 관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운영과 보안은 명확한 기준과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므로 KPI가 적합합니다. 신규 서비스 개발이나 사용자 경험 개선은 실험과 학습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OKR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의료/헬스케어
의료 산업은 환자 안전과 의료 서비스 품질이라는 기본 가치를 지키는 동시에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추구해야 합니다. 진료, 간호, 약제 등의 핵심 의료 서비스는 KPI를 통한 엄격한 관리가, 디지털 전환이나 환자 경험 개선 등의 혁신 과제는 OKR을 통한 단계적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바로 적용하는 산업별 KPI 샘플북📚
이제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감이 오시나요? 하지만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더 구체적인 가이드가 필요하실 텐데요. Team Sgate가 준비한 산업별 상세 KPI 샘플을 확인해보세요.